본문 바로가기

efsa노벨푸드규정2

법적 규제가 바뀌면 어떤 곤충들이 식품으로 등장할까? 1. 현재 법적으로 승인된 식용 곤충과 그 기준곤충 식품이 점차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모든 곤충이 식용으로 허용된 것은 아니다. 현재 식품으로 인정받은 곤충들은 유럽연합(EU), 미국, 한국 등에서 영양 성분과 안전성 등을 기준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승인된 것이다.현재 승인된 주요 식용 곤충 (국가별)국가/지역승인 곤충 종관련 기관EU밀웜, 귀뚜라미, 메뚜기EFSA (유럽식품안전청)미국일부 귀뚜라미, 밀웜FDA (식품의약국)한국갈색거저리, 쌍별귀뚜라미 등 10종식품의약품안전처 이러한 곤충들은 위생적인 사육 환경과 독성,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을 포함한 평가를 통해 식품 원료로 승인된다.2. 법적 규제 완화 시 등장 가능성 높은 곤충들만약 법적 규제가 완화된다면, 다음과 같은 곤충들이 새로.. 2025. 2. 14.
곤충 식품, 문화적 장벽과 법적 이슈 1. 곤충 식품에 대한 문화적 거부감의 원인곤충 식품이 미래 식량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단순히 식품의 맛이나 영양성 때문이 아니라, 오랜 기간 형성된 문화적 배경과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곤충을 식품으로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위생 및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다. 곤충은 일반적으로 해충으로 인식되며, 오염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발견된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특히 서구 문화에서는 곤충을 식품이 아닌 방제 대상이나 불쾌한 존재로 여겨왔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또한, 사회적·역사적 요인도 문화적 거부감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전통적.. 2025.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