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곤충 식품

곤충 식품 소비자 보호와 표시 기준

by 젠소리 2025. 2. 10.

1. 곤충 식품 표시 기준의 필요성

곤충 식품이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라벨링과 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다. 곤충 단백질은 기존 식품과 달리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높고, 특정 소비자층(예: 채식주의자, 특정 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곤충 식품의 성분과 원산지, 가공 방식 등을 명확히 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곤충 식품 소비자 보호와 표시 기준

2. 주요 국가의 곤충 식품 표시 기준

1) 유럽연합(EU)

EU는 곤충 식품을 신식품(Novel Food)로 분류하고 있으며, 표시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항목표시 기준

항목 표시 기준
곤충 명칭 학명과 일반명을 모두 표기
알레르기 경고 갑각류 알레르기와 교차 반응 가능성 표기
원산지 생산 및 가공 국가 명시
가공 방법 건조, 분말화 등의 처리 방식 기재
유전자 변형 여부 유전자 조작 여부 표기

2) 미국

미국에서는 식품의약국(FDA)이 곤충 식품의 안전성 및 표시 기준을 관장한다.

  • 곤충 단백질의 주요 성분과 함량 기재 필수
  • “곤충 유래 성분 포함(Contains Insect-derived Ingredients)” 문구 필수
  • 일부 주(State)에서는 별도 인증 요구

3) 한국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곤충 식품의 안전성 및 표시 기준을 관리한다.

항목 표시 기준
식용 곤충 종류 10종 승인 곤충 명칭 표기
알레르기 정보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표기 필수
첨가물 정보 가공 과정에서 사용된 성분 명시

4) 일본

일본에서는 식품 위생법에 따라 곤충 식품이 관리되며, 곤충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정확한 명칭으로 표기해야 한다.

  • 일부 대형 유통업체는 곤충 유래 제품을 별도로 구분하여 판매
  • 현대적인 곤충 단백질 제품에 대한 규제는 비교적 미비

3. 곤충 식품 표시 기준의 주요 쟁점

1) 알레르기 경고 표시의 필요성

곤충 단백질은 갑각류(새우, 게) 알레르기와 교차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경고 표시가 필수적이다.

EU와 한국에서는 의무화, 그러나 일부 국가는 미비한 상태

국제적 기준 마련 필요

2) 곤충 성분의 명확한 표기

일부 소비자는 곤충 성분이 포함된 식품을 기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에 이를 명확히 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EU, 한국, 미국: 곤충 포함 여부 명확히 표기

일부 국가에서는 곤충을 '단백질 강화 성분'으로만 기재

3) 식품 인증 및 투명성 확보

인증제도 설명
HACCP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 식품 안전성 보장
ISO 22000 국제 식품 안전 경영 시스템 인증
유기농 인증 화학적 첨가물 없이 생산된 식품에 대한 인증
Novel Food 인증(EU) 새로운 식품 성분 승인 절차
FDA 승인(미국) 미국 내 식품 유통 허가

4. 곤충 식품 소비자 보호를 위한 개선 방안

1) 국제적 표시 기준 마련

각국의 곤충 식품 표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등 국제기구에서 통일된 표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일된 알레르기 경고 문구 개발

국제적 가공 및 원산지 표시 기준 정립

2) 홍보 체험 및 정보 제공 강화

  • 공식적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 곤충 단백질의 장점 및 영양 정보 홍보
  • 알레르기 반응 및 섭취 시 주의점 안내

3) 기업의 자발적 정보 공개 확대

기업들은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제품 패키지뿐만 아니라 홈페이지 및 마케팅 자료를 통해 원재료 및 생산 과정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공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품 포장에 원재료, 가공 방식, 영양 정보 명확히 표시

홈페이지 및 광고를 통해 소비자가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


곤충 식품이 더욱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명확한 표시 기준이 필수적이다. 각국의 규제 차이로 인해 현재는 혼란이 존재하지만, 향후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보다 일관된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국제 표준화 작업 필요: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가 협력하여 통일된 기준 마련

소비자 신뢰 확보: 기업의 투명한 정보 공개 및 홍보 강화

정부의 규제 강화: 곤충 단백질의 안전성 확보 및 가이드라인 구축

이를 통해 곤충 식품은 미래 식량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대체 단백질 공급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